1. 가우스 소거법 행렬로 풀기
앞에서 배운 가우스 소거법을 행렬의 곱으로 바꾸는 작업을 해보자.
우선 가우스 소거법의 단계를 정리해본다.
- (1)을 이용해 (2)의 u를 제거
- (1)을 이용해 (3)의 u를 제거
- (2)를 이용해 (3)의 v를 제거
순서를 따라 해본다.
-
(1)을 이용해 (2)의 u를 제거
$\begin{bmatrix}E_{21}\end{bmatrix}\begin{bmatrix}2&1&1\\ 4&-6&0 \\ -2&7&2\end{bmatrix}=\begin{bmatrix} 2 & 1 & 1 \\ 0 & -8 & -2 \\ -2 & 7 & 2\end{bmatrix}$
제거해야할 u는 (2)에 있으므로 (1), (3)은 변하지 않는다. 그러므로 $E_{21}$의 첫 번째와 세 번째 행은 Identity Matrix이다.
(2)의 u의 계수인 4를 지우기 위해 (1)에 -2를 곱하고 (2)와 더해야 한다. 그러므로 두 번째 행은 (-2, 1, 0)이 된다.
$E_{21} = \begin{bmatrix}1&0&0\\ -2&1&0 \\ 0&0&1\end{bmatrix}$
$E_{21}$은 1번 식을 이용해 2번 식을 바꾸는 행렬이다. -
(1)을 이용해 (3)의 u를 제거
앞에서 했던 것과 똑같다.
$\begin{bmatrix}E_{31}\end{bmatrix}\begin{bmatrix}2&1&1\\ 4&-6&0 \\ -2&7&2\end{bmatrix}=\begin{bmatrix} 2 & 1 & 1 \\ 4&-6&0 \\ 0&8&3\end{bmatrix}$
제거해야할 u는 (3)에 있으므로 (1), (2)는 변하지 않는다.그러므로 $E_{31}$의 첫 번째와 두 번째 행은 Identity Matrix이다.
(3)의 u의 계수인 -2를 지우기 위해 (1)과 (3)를 더해야 한다. 그러므로 두 번째 행은 (1, 0, 1)이 된다.
$E_{31} = \begin{bmatrix}1&0&0\\ 0&1&0 \\ 1&0&1\end{bmatrix}$ -
(2)를 이용해 (3)의 v를 제거
앞에서 했던 것과 똑같다. 이 단계는 이미 (2), (3)이 수행된 후다. 그래서 2, 3 행의 바뀌었다.
$\begin{bmatrix}E_{32}\end{bmatrix}\begin{bmatrix}2&1&1\\ 0 & -8 & -2 \\ 0&8&3\end{bmatrix}=\begin{bmatrix} 2 & 1 & 1 \\ 0 & -8 & -2 \\ 0&0&1\end{bmatrix}$
제거해야할 v는 (3)에 있으므로 (1), (2)는 변하지 않는다.그러므로 $E_{32}$의 첫 번째와 두 번째 행은 Identity Matrix이다.
(3)의 u의 계수인 8를 지우기 위해 (2)과 (3)를 더해야 한다. 그러므로 두 번째 행은 (0, 1, 1)이 된다.
$E_{32} = \begin{bmatrix}1&0&0\\ 0&1&0 \\ 0&1&1\end{bmatrix}$
정리
$$\begin{bmatrix}E_{32}\end{bmatrix}\begin{bmatrix}E_{31}\end{bmatrix}\begin{bmatrix}E_{21}\end{bmatrix}\begin{bmatrix}2&1&1\\ 4&-6&0 \\ -2&7&2\end{bmatrix}=\begin{bmatrix} 2 & 1 & 1 \\ 0 & -8 & -2 \\ 0 & 0 & 1 \end{bmatrix}$$
연립 방정식에서 계수를 추출한 행렬에서 가우스 소거를 하기 위한 행렬 $E_{21}$, $E_{31}$, $E_{32}$를 곱하면, U(Upper Triangular Matrix)가 나온다.
Elementary Matrix in Gauss Elimination
$$E_{21}=\begin{bmatrix}1&0&0\\ -l_{21}&1&0 \\ 0&0&1\end{bmatrix}=(2)-l_{21}(1)$$
$E_{21}$의 의미: $(2)$에서 $l_{21}(1)$을 빼서 $(2)'$를 만들었다.
$\Rightarrow (2)-l_{21}(1)=(2)'$
$\Rightarrow (2)=(2)'+l_{21}(1)$
즉, $E_{21}A=A'$이므로 $E_{21}^{-1}A'=A$이며, 이것은 가우스 소거의 역과정이다.(U에서 처음의 식을 만듦)
또한, $E_{21}^{-1}=\begin{bmatrix}1&0&0\\ l_{21}&1&0 \\ 0&0&1\end{bmatrix}$이다.($l_{21}$의 부호만 바뀜) 그럼 결국 $A=E_{21}^{-1}E_{31}^{-1}E_{32}^{-1}U$를 구할 수 있다.
$A=E_{21}^{-1}E_{31}^{-1}E_{32}^{-1}U$
$=\begin{bmatrix}1&0&0\\ l_{21}&1&0 \\ 0&0&1\end{bmatrix}\begin{bmatrix}1&0&0\\ 0&1&0 \\ l_{31}&0&1\end{bmatrix}\begin{bmatrix}1&0&0\\ 0&1&0 \\ 0&l_{32}&1\end{bmatrix}U$
$=\begin{bmatrix}1&0&0\\ l_{21}&1&0 \\ l_{31}&l_{32}&1\end{bmatrix}U$
여기에 있는 $\begin{bmatrix}1&0&0\\ l_{21}&1&0 \\ l_{31}&l_{32}&1\end{bmatrix}$도 삼각행렬이다.(Lower Triangular Matrix)
$=LU$
Matrix A를 LU로 표현하는 것을 LU분할이라고 한다.
LU분할을 하면 그냥 A로 두는 것보다 계산하기 훨씬 편해진다고 한다.(특히 하드웨어 설계를 할 때 많이 쓰인다고 함)
ex1)
$L=\begin{bmatrix}1&0&0\\ 3&1&0 \\ 2&4&1\end{bmatrix}$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함축하고 있다.
- $(2)-3(1)$
- $(3)-2(1)$
- $(3)-4(2)$
L행렬 안에 이 정보를 함축하고 있다. (가우스 소거가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나타냄)
ex2)
$A=\begin{bmatrix}1&2\\ 3&8 \end{bmatrix}\Rightarrow U=\begin{bmatrix}1&2\\ 0&2 \end{bmatrix}, L=\begin{bmatrix}1&0\\ 3&1 \end{bmatrix}$
ex3)
$A=\begin{bmatrix}1&0&0\\ l_{21}&1&0 \\ l_{31}&l_{32}&1\end{bmatrix}$일 때, $A=L$이다. 즉, $A=LI$이고, 이 때 $U=I$다.
ex4)
$U=\begin{bmatrix}d_1&U_{12}&U_{13}\\ 0&d_2&U_{23} \\ 0&0&d_3\end{bmatrix}$
$=\begin{bmatrix}d_1&0&0\\ 0&d_2&0 \\ 0&0&d_3\end{bmatrix}\begin{bmatrix}1&\frac {U_{12}} {d_1}&\frac {U_{13}} {d_1}\\ 0&1&\frac {U_{23}} {d_2} \\ 0&0&1\end{bmatrix}$
$=DU$
d로 이루어진 Matrix를 Diagnal Matrix라고 한다.
정리
$A=LU=LDU$
D는 계산하기 편하다.
- LU분할은 unique하다.
- Pivoting도 Matrix로 표현 가능하다.(Permutation Matrix)
Pivoting의 예)
$\begin{bmatrix}0&1&0\\ 1&0&0 \\ 0&0&1\end{bmatrix}\begin{bmatrix}2&1&1\\ 4&-6&0 \\ -2&7&2\end{bmatrix}=\begin{bmatrix}4&-6&0\\ 2&1&1 \\ -2&7&2\end{bmatrix}$
왼쪽에 있는 행렬을 $P_{21}$이라고 표현하며, 첫 번째 행과 두 번째 행을 바꾼다. 이 Matrix는 특정 행과 열에 1이 단 하나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.
'강의록 > 선형대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선형대수] 6강. 영벡터공간과 해집합 (0) | 2020.03.24 |
---|---|
[선형대수] 5강. 벡터공간과 열벡터공간 (0) | 2020.03.24 |
[선형대수] 4강. 역행렬과 전치행렬 (0) | 2020.03.19 |
[선형대수] 2강. 1차 연립방정식과 가우스소거법 (0) | 2020.03.18 |
[선형대수] 1강. 선형성 정의 및 1차 연립 방정식의 의미 (0) | 2020.03.18 |